창원시가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남지역본부 앞마당에 설치된 윤석열 전 대통령 친필 휘호 표지석을 두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17일 창원시에 따르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경남본부는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지난해 12월 10일 항의의 뜻으로 해당 표지석에 검은색 스프레이로 '내란'이라는 문구를 칠했다. 이에 시는 내란 문구 표시 직후 검은 천을 씌워 4개월째 표지석을 가려둔 상태다.
당시 민주노총은 "제보를 받고 그런 조형물이 창원에 있다는 걸 알게 됐다. 많은 국민들이 윤석열은 내란 수괴이고 대통령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그래서 대통령 글자 앞에 내란이라고 표시해 '내란 대통령'이라고 했다. 전국민적 투쟁에 대한 항의의 표시"라고 밝혔다.
문제의 표지석은 지난 2023년 4월 24일 창원국가산단 지정 50주년을 기념해 창원시가 산업단지공단 경남본부 입구에 설치했다. 표지석에는 '산업강국의 요람 창원국가산업단지 2024.4.24 대통령 윤석열'이라고 새겨져 있다. 표지석을 포함해 인근 조형물 설치 등 전체 표지석 부지 조성에 약 7억 원이 든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지난 4일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이후에도 보존이나 원상복구, 철거 중 어떤 방향으로 처리할지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표지석이 설치된 산업단지공단 경남본부는 "표지석이 경남본부 안에 설치돼 있지만 소유권과 관리권은 모두 창원시에 있다"고 전했다.
창원중부경찰서는 재물 손괴 등의 혐의로 민주노총 관계자를 상대로 조사하고 있다. 시는 수사 결과와 이후 상황을 보고 존치 여부 등에 대한 판단을 내릴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노총은 여전히 표지석 철거를 주장하고 있다. 민주노총 경남본부 관계자는 17일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헌법재판소 판결에 따라 내용적으로 내란 행위가 입증된 윤 전 대통령의 비석이 창원에 있다는 건 어처구니없는 일"이라며 "철거 주장은 당연하고 우리 할 일을 하는 것뿐인데 (경찰) 수사는 유감"이라고 말했다.
이어 경찰 조사에 대해 "법적 대응할 것"이라며 오는 21일 기자회견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