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0일 사전투표 및 본투표와 개표 등 절차 전반을 공개하는 시연회를 열었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논란이 됐던 '부정선거 의혹'을 불식하고, 선거관리 시스템의 신뢰성을 강조하려는 취지다.
선관위는 "이번 시연회는 투·개표 과정의 세부절차 외에도 투·개표 관리보안체계, 사전투표용지 발급기, 투표지분류기 등 주요 선거 장비 구성·제원 및 작동원리 등을 투명하게 공개해 부정선거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밝혔다.
이번 시연회에서는 지난 제21대 총선 관련 선거무효소송 재검표 과정에서 부정선거를 주장한 측이 근거로 제시했으나, 대법원에서 정상 투표지로 밝혀진 이른바 '일장기 투표지' 등에 대한 설명도 있었다.
일장기 투표지란 투표관리관의 관인이 뭉개진 모양으로 찍힌 것을 일컫는다. 관리관 관인은 통상 별도의 인주가 필요 없는 만년인을 사용한다. 그런데 일부 투표관리 사무원이 이를 착각해 관인을 인주에 찍은 뒤 투표지에 날인하면서 빚어진 실수라는 게 선관위 해명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일장기 투표지 등 실수는) 부분적으로 나타난다"며 "지엽적인 실수에 의한 것이지, 일부러 조작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투표함 잠금장치에 붙이는 '비잔류형 봉인지'를 떼어내자 떼어낸 봉인지에는 'OPEN VOID'라는 마크가 나타났지만, 투표함에는 흔적이 남지 않았다. 이 때문에 비잔류형 봉인지는 부정선거 의혹의 근거로 언급되곤 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선관위 관계자는 "봉인지는 (떼어냈을 때 투표함에) 흔적을 남기는 게 아니라, (봉인지에) 관리인의 서명을 남기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봉인지 아래 별도의 잠금장치가 있기 때문에 이를 훼손하지 않는 한 임의로 투표함을 열거나 투표용지를 넣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선거 전용 통신망은 외부 접근이 불가하기 때문에 선거 정보 시스템의 해킹 우려도 없다고 선관위 관계자는 강조했다.
김용빈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은 "국민들께서 부정선거 의혹에 대해 많은 의구심을 갖고, 걱정하신다"며 "최선을 다해 선거를 치르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취지, 그리고 지금까지 문제가 된 부정선거 의혹에 대해 잘 설명해 드려야겠다는 취지에서 시연회를 마련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