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은 1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부과한 관세율이 125%가 아닌 145%라고 바로 잡았다.
미 언론들은 이날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합계 관세율은 145%라고 백악관이 확인해줬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125%라고 명시돼 있고, 여기다 지난 2월 부과한 펜타닐 관세 20%를 추가하면 145%가 된다는 뜻이다.
백악관이 이날 공개한 행정명령에 따르면, 기존의 대중 상호관세율 84%를 삭제하고 이를 '125%'로 대체한다는 내용이 들어가 있다.
여기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펜타닐 유통에 대한 책임을 물어 중국에 부과한 20%의 관세를 더하면 총 145%가 된다.
공개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파트너의 보복과 지지를 반영하기 위한 상호관세율 수정'이라는 제목의 행정명령에 따르면 기존의 대중 상호관세율 84%를 삭제하고 이를 '125%'로 대체한다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같은 대중 관세가 10일 오전 0시 1분(미 동부 표준시간)부터 부과된다고 시점도 명시했다.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는 같은 시각부터 90일간 유예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처럼 미국의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는 일단 유예됐지만, 미중 간 '관세 전쟁'은 '치킨 게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유예' 발표로 급등했던 뉴욕증시는 이날 미중간 관세 전쟁 격화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지수는 이날 오후 1시 현재 전장에 비해 3.50% 하락했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도 각각 4%, 5%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