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04-19 4·19혁명 뒤 제주 4·3 사건 조명

4·19혁명으로 자유당 정권이 몰락하면서 제주 4·3 사건에 대한 공개적인 논의가 시작됐다. 1960년 5월 제주대학생 7명이 '4·3사건진상규명동지회'를 조직, 진상조사 작업에 나섰다. 이어 5월 27일 남제주군 모슬포에서 유가족 등 주민들이 집회를 열어 '특공대 참살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사진은 4.19학생 시위대 대표 결의문 낭독 모습. 사진=국가기록원 제공
1960-05-23 국회서 진상조사 발의

이날 국회에서 거창·함양 등지의 양민학살사건에 관한 조사단이 구성되자, 제주출신 국회의원들은 제주 4·3사건의 진상도 조사해야 한다고 발의했다. 국회는 이를 받아들여 경남반(반장 최천)의 조사지역을 확대하여 6월 6일 하루 동안 4·3사건의 진상 조사를 실시했고, 3일 동안 제주신보에 접수된 피해 건수는 총 1259건, 인명 피해는 1457명에 달했다. 사진은 제주4·3 진상조사 촉구 내용을 담은 제주학우회의 탄원서. 사진=경향신문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 캡처
1961-05-16 다시 금기된 제주 4·3…고초 겪기도

이날 5·16 군사쿠데타가 일어나며 제주 4·3 사건은 다시 금기됐다. 다음날 4·3사건 진상규명동지회 회원 이문교·박경구가 구속돼 6개월간 옥고를 치렀고, 피해자 신고 접수에 앞장섰던 제주신보 신두방 전무가 구속, 진상규명을 호소했던 모슬포 유족들도 경찰에 연행되어 고초를 겪었다. 이후 20여 년간 제주 4·3 사건에 대한 논의는 금지됐다. 1978년 소설가 현기영이 '순이삼촌'이라는 소설을 통해 해당 내용을 전했지만, 작가는 정보기관에 연행되어 고초를 겪었다. 사진은 4·3사건진상규명동지회 제주대학 학생 7인(인물순서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고순화, 고시홍, 채만화, 양기혁, 박경구, 이문교, 황대정). 사진=제주4·3 진상조사보고서
1987-04-03 첫 위령제…경찰에 연행된 학생들

이날 제주대학교 총학생회에선 4·3 사건 발발 이후 첫 위령제를 치렀다. 4·3 사건을 민중항쟁으로 공식 규정하는 대자보가 나붙어 관련자가 경찰에 연행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앞서 대학가에선 1987년 시민항쟁 이후 4·3은 학생운동권·사회운동권 내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 추모 집회와 시위를 통해 4·3 진상 규명 운동이 일었다. 사진은 1989년 4월 제주대학교 학생회관 앞. 사진=제주4·3 평화재단 제공
1989-05-10 전국 진상규명 운동 이어져

이날 발족된 제주4·3연구소는 창립 이후 증언집 등을 발간하여 사실 증언의 축적과 학술적 논의의 바탕을 마련했다. 문화예술인을 포함한 각계 각층에서 진상규명운동이 이어졌고, 1993년 10월 제주지역총학생회협의회가 4·3특별법 제정과 특위 구성을 촉구하는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또 1995년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는 '제주4·3사건 피해실태 조사보고서'를 발간했다. 1997년 4월 '제주4·3 제50주년 기념사업추진 범국민위원회'가 결성되는 등 4·3진상규명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됐다. 사진은 제주대학교 학생들의 4·3 41주기 추모대회. 사진=제주4·3 평화재단 제공
2000-01-11 50여년 만에…'제주4·3특별법' 서명

이날 청와대에서 그동안 진상규명 운동에 앞장서 온 유족·시민단체 대표 8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김대중 대통령이 4·3특별법에 서명했다. 4·3특별법은 4·3사건이 발발한 지 50여 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차원의 진상 규명의 방임과 희생자들에 대한 명예회복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데 대한 반성과 해결의 의지를 보여준 결과였다. 앞서 1997년 12월 대통령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가 4·3사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사진=제주4·3 진상조사보고서
2003-10-15 정부의 사과…盧, 위령제에 대통령 최초 참석

이날 제주 4·3사건의 진상을 담은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 보고서가 확정됐다. 10월 31일 노무현 대통령은 제주도를 방문하여 진상조사보고서에 근거해 과거 국가권력의 잘못을 공식 사과했다. 2005년 1월 27일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지정 선언문에 직접 서명함으로써 제주도가 평화의 섬으로 공식 지정됐고 2006년 58주기 위령제에는 대통령 최초로 참석했다. 사진=제주4·3 진상조사보고서
2012-04-12 이명박, 박근혜 '4.3 위령제' 모두 불참

4.11 총선에서 제주지역 선거구 3곳 모두 민주통합당 의원이 당선됐다. 당시 이명박 대통령은 재임 시절 5년 내내 4.3 위령제에 한 차례도 참석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제주4.3사건에 대한 MB정부와 새누리당의 기본 태도를 보여줬다며 잡음이 일었다. 이후 박근혜 대통령 역시 3년 간 불참했다. 사진=윤창원 기자
2014-03-18 제주 4·3 사건 추념일, 국가 기념일로

박근혜 정부는 이날 국무회의에서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을 개정했다. 이후 3월 24일자 관보에 게재됨으로써 '4·3희생자 추념일' 지정을 위한 대통령령 개정안이 마침내 공포됐다. 이로써 건의 11년만에 결실을 맺었다. 앞서 박근혜 당시 대통령 후보는 2012년 12월 추념일 지정을 제주지역 대선의 주요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 사진=제주4·3 진상조사보고서
2021-04-13 文, 세 차례 참석…尹, 당선인 시절만 참석

문재인 대통령은 재임 기간 70주년(2018년), 72주년(2020년), 73주년(2021년) 등 3차례 4.3희생자추념식에 참석했다. 재임 중 추념식에 세 차례나 참석한 것은 문 대통령이 처음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도 2022년 보수 당선인 가운데 첫 추념식에 참석했으나, 이후 2023년, 2024년 연이어 불참했다. 특히 2024년에는 추념사조차 보내지 않아 뒷말이 나왔고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불참했다. 사진=연합뉴스
2025-04-11 유네스코 등재된 제주4·3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는 한국 시각으로 이날 오전 6시 5분 '진실을 밝히다: 제주 4·3아카이브'의 세계유산기록 등재를 최종 승인했다. 1949년 제주4·3 당시부터 정부의 공식 진상조사보고서가 발간된 2003년까지 확보된 1만 4673건의 제주4·3 기록물이 세계유산으로 인정받았다. 이번 등재로 제주는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과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 무형문화유산에 이어 세계기록유산까지 더해지면서 '유네스코 5관왕'을 달성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