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종전 협상이 진전이 없을 경우 미국이 중재 역할에서 빠질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협상 당사자들과 유럽을 동시에 압박하고 나섰다.
루비오 장관은 이날 파리에서 "양측이 진심으로 평화를 원한다면 돕고 싶지만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다른 길을 가야 한다"며 "미국은 다른 우선순위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루비오 장관의 이런 발언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휴전이 양측 간 이견으로 진척이 없다면 미국 정부가 여기서 발을 뺄 수 있다고 경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로이터통신은 최근 평화 협상 진행이 지지부진한 것에 대한 미국 정부의 불만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해석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취임하면 24시간 안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 있다"고 공언하는 등 우크라이나 전쟁의 조기 종식을 자신했다.
취임 직후엔 우크라이나와 유럽을 배제한 채 러시아와 '톱 다운' 방식으로 협상에 나서며 실제로 해결사 역할을 자처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원조 중단 카드를 쓰며 우크라이나를 압박해 30일간의 무조건적 휴전안에 동의를 받아냈다.
하지만 러시아의 반대로 양측은 에너지 시설에 대한 상호 공격만 30일간 중단한다는 부분 휴전안에 지난달 25일 합의했다.
이마저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고 18일 별다른 성과 없이 기한이 만료됐고,이후 우크라이나 민간인을 향한 러시아의 미사일·드론 공격으로 수십명의 사상자가 나오면서 트럼프의 휴전 중재가 아무 성과 없이 러시아에 시간만 벌어줬다는 비판까지 나왔다.
이는 양측이 근본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서다.
러시아는 2014년 강제 병합한 크림반도에 더해 이번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점령한 도네츠크, 루한스크, 헤르손, 자포리자 지역을 국제사회가 러시아 영토로 인정해 달라고 요구한다.
이와 함께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포기,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제재 해제 등의 조건도 내걸었다.
반면 우크라이나는 "한 치의 영토도 포기할 수 없다"며 어떤 형태의 양보나 타협도 거부하고 있고, 전후 러시아의 재침공을 막기 위해선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이나 최소한 미국 등 서방 동맹이 명확히 안보 보장을 약속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이런 상황 속 루비오 장관의 이날 발언은 영토 사수를 고수하는 우크라이나에 현실적인 타협을 촉구하는 압력으로 해석된다.
앞서 지난 11일 러시아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고 온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는 이후 휴전 합의가 도네츠크·루한스크·자포리자·헤르손·크림반도 등 '소위 5개 영토'에 달렸다고 말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편을 들었던 유럽도 분위기 변화가 감지된다.
그동안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등 유럽 지도자들은 우크라이나인의 의지에 반한 국경 변경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었지만,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고개를 들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1월 초 프랑스 대사들의 신년회에서 "우크라이나인들은 영토 문제에 대해 현실적으로 논의해야 하며 이는 그들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런 기류를 감지한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날 파리 회담이 끝난 시점에 맞춰 키이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의도적인지 무의식적인지는 모르겠지만 (위트코프 특사가) 러시아의 서사를 퍼뜨리고 있다"며 "그가 우크라이나 영토에 관해 논의할 권한이 있다고 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