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렸음에도 전국 의사와 의대생들이 서울 도심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정부에 의료개혁 정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20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중구 숭례문 일대에서 '전국의사총궐기대회'를 열고 정부를 향해 "과오를 인정하고 책임 있는 사과와 수습책을 제시해야 한다"며 "의료개혁 정책을 전면 재논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집회에는 김택우 회장을 비롯한 의협 집행부와 전국 의과대학 학생들, 전공의, 여성의사단체 등이 대거 참석했다. 주최 측은 약 2만 5천 명이 모인 것으로 추산했다.
의협 김택우 회장은 연단에 올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집권 당시 "의료인 처단"이라는 표현까지 썼다고 비판하며 "그 칼끝은 결국 자신을 향했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의 본질을 지키기 위한 싸움은 끝나지 않았다"며 "지역의료, 필수의료의 붕괴는 미래가 아닌 현재의 모습이다. 수가 체계는 여전히 비정상이고, 정부는 의사 탓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국의사총궐기대회는 후배들이 돌아갈 명분을 우리가 만드는 자리"라고 했다.
집회 현장에는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조윤정 회장도 나서 "'의대를 신설하면 필수의료, 지역의료가 회복된다고 주장하지 말라"며 "교수요원이나 교육병원이 준비되지 않은 채 의대를 신설하는 것은 환자를 살리지 못하는 '무늬만 의사인 가짜 전문가'를 양산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젊은 의사와 의대생 대표 발언도 이어졌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은 "병원을 떠났다. 오늘이 아니라 내일의 의료를 지키고 싶었다"며 "정부는 집단행동을 주도하면 체포할 수 있다고 겁박했고, 업무 개시 명령과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 진료 유지 명령 등 행정 명령을 남발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정책 실패로 3조 5천억 원의 국민 세금이 증발했다. 한미 양국 방위비 분담금이 1조 5천억 원, 네이버 영업 이익이 2조 원"이라며 "정부는 왜 정책 실패와 예산 낭비를 인정하지 않는가"라고 주장했다.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장은 "최근 정부는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은 기존 수준으로 조정하겠다면서도, 2027년부터는 추계위를 통해 증원하겠다고 한다"며 "PK가 뭔지도 모르는 총장들이 무작정 짓겠다는 건물에 맞춰서 증원하겠다는 것은 현장 의견 고려 없는 관료의 무능"이라고 말했다. PK(Practical Clerkship)는 의대생이 병원에서 직접 임상실습을 하는 필수 교육 과정이다.
의협 대선기획본부 김창수 공약연구단장은 현 정부 정책의 문제점으로 △의료정책 결정 과정의 불투명성 △현장 괴리 △정책의 지향점 부재 △의정 합의 파기의 책임 등을 꼽았다.
이날 의사·의대생 단체들은 '의료정상화를 위한 결의문'을 통해 "정부는 윤석열표 의료개악을 즉각 중단하고, 전공의·의대생의 학습권과 수련권 회복을 위한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했다. 또 "의료는 정치의 도구가 돼서는 안 되며, 전문가 중심의 과학적 판단에 기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집회는 정부가 지난 17일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리며 한 발 물러섰음에도 강행됐다. 의협은 향후 대선 국면에서 의료정책 공약을 점검하고, 정치권에 적극 대응할 방침으로, 조기 대선과 맞물려 목소리를 더욱 키우는 모양새다.
한편 정부의 '원점 회귀' 결정을 두고 환자단체에선 "의료계 입장만 수용한 대국민 사기정책"이라는 비판이 터져나오기도 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도 "집단행동이면 정부를 이길 수 있다는 의료계의 비뚤어진 믿음을 더욱 굳건하게 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