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올바른 의료개혁'이 이뤄져야 한다며 의사인력 확충 등 대통령 선거 주요 공약을 제시했다.
노조는 21일 '보건의료노조 대선 공약화 요구 및 이후 계획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의사인력 확충으로 공공·지역·필수의료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번 대통령 선거 공약으로 △의사인력 확충으로 공공·지역·필수 의료 강화 △직종별 적정인력 기준 제도화 △보건의료산업부터 주4일제 도입 △공공병원 '착한 적자' 국가책임제 △전국 70개 중진료권마다 공공병원 확보, 강화 △공익 참여형 의료법인 제도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 확대 △건강보험 보장성을 80%로 상향 △의료공공성 강화와 의료 영리화 정책 중단 △9.2 노정합의 완전한 이행, 산별교섭 제도화, 보건의료분야 사회적 대화기구 마련 등 10가지 정책을 제안했다.
최희선 보건의료노조 위원장은 "의료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관점에서 전체 보건의료노동자들에 대한 종합적인 인력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윤석열표 일방적 의대 증원 정책 실패를 극복하고, 공공성을 중심으로 새로운 의사인력 확충과 올바른 의료개혁을 추진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현장 발언에 나선 한 사립대병원 간호사는 "과중한 업무와 연장근무에 지쳐 퇴근한 뒤에는 요일조차 잊은 채 곯아떨어지기 일쑤"라며 "간호사들의 피로는 단순히 개인적인 어려움에 그치지 않는다"고 짚었다.
이어 "밤샘 근무 후 이어지는 또 다른 근무는 집중력을 흐리게 만들고, 피로에 지친 간호사의 실수는 곧 환자의 안전과 직결된다"며 "주 4일제 근무가 간호사들의 건강과 환자 안전을 모두 지킬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공공병원 지원을 늘려 공공의료를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왔다.
부산의료원의 한 노동자는 "코로나19 전담 대응 이후 기존의 많은 우수 의료진들이 그만두고 떠났다"며 "새로운 의사를 구하지 못해 외래진료 공백이 심화됐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지역거점 공공병원들의 운영을 지방 정부에만 맡겨두어선 안된다"며 "공공병원의 안정된 운영을 바탕으로 공공의료를 강화하는 데 국가가 책임지고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대선 공약화를 위해 향후 후보 초청 토론회, 정책협약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