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출마한 김동연 경기도지사 측은 11일 "경선 과정에서 국민선거인단을 없애서는 안 된다. 기존 당규대로 하면 된다"며 "1인 1표 국민경선 방식을 그대로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 측 대리인을 맡고 있는 고영인 전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의 논의가 심각히 우려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국민선거인단을 없애려는 방향이라는 여러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민주당은 그 동안 참여 의사를 밝힌 일반 국민을 선거인단에 포함하는 '국민선거인단' 방식을 채택해 왔지만, 최근 당 내 일각에서는 조직적인 역선택 우려 등을 고려해 여론조사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고 전 의원은 "시간이 촉박할수록 원칙과 상식을 지키는 것이 국민과 당원들의 마음을 모으는 길"이라며 "시간이 없다, 역선택이 우려된다는 막연한 구실로 국민경선 파괴하려는 결과 보인다면 우리 캠프는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후보 측 논의 테이블을 만들어 방법을 논의할 것 △'당직은 당원에게, 공직은 국민에게' 라는 노무현·문재인 대통령을 만든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 것 △탄핵 국면에서 보여 준 광범위하고 다양한 응원봉 연대의 힘을 국민선거인단으로 모을 것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특별당규준비위가 국민의힘 지지자들의 개입 가능성 등 일반 국민 비율 반영을 우려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국민선거인단을 없애려는 구실에 불과하다"며 "국민선거인단은 민주당의 자긍심과 가치이고, 역대 대통령을 만들어 온 중요한 선거제도이다. 함부로 없애는 것은 역사에 죄를 짓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 측도 입장문에서 "당은 룰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후보자의 의견을 한 번도 묻지 않고, 룰 미팅을 한 번도 갖지 않은 채 완전국민경선 요구를 일축했다"며 "민주당 지도부가 후보자들의 의견을 일절 듣지 않고 계속 불통한다면,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추대 경선'의 들러리로 나서는 것에 대해 깊이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반발했다.
한편 이재명 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경선 룰에 대한 입장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제가 선수인데 심판의 규칙에 대해 뭐라고 말하겠느냐"며 "국민과 당원의 뜻에 따른 어떤 결정도 다 수용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