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치러진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응시 결과를 분석한 결과, 2026학년도 대입 고3 수험생 중 문과 학생이 이례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과 선호 현상과 배치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종로학원은 20일 "지난달 26일 치러진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채점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과생이 주로 응시하는 수학 선택과목 미적분·기하가 지난해 46.1%에서 올해 40.5%로 5.6%p 하락한 반면, 문과생들이 주로 응시하는 '확률과 통계'는 53.9%에서 59.5%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미적분·기하는 통합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도입된 2022학년도 39.5%, 2023학년도 43.2%, 2024학년도 46.1%, 2025학년도 46.1%를 기록하다 2026학년도에는 40.5%로 하락세로 전환했다.
국어 선택과목은 이과생이 주로 응시하는 '언어와 매체'가 지난해 37.4%에서 올해 33.8%로 3.6%p 하락했다. 의대 및 이과 선호현상이 큰 상황에서 수학, 국어 과목에서 이과생이 줄고 문과생이 늘어난 것은 이례적이다.
종로학원은 문과 학생 증가와 관련해 "최근 의대 선호현상으로 상위권 학생들이 이과에 집중돼 있고, 서울권 소재대학 합격선도 이과가 문과보다 높은 상황에서, 이에 부담감을 느낀 이과생들이 문과로 전향하면서 중상위권 대학을 겨냥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탐구 과목에서는 사회탐구 응시 비율이 지난해 55.1%에서 올해 64.6%로 큰 폭 증가하며 2022학년도 통합수능이 도입된 이래 최고를 기록했다. 사탐 응시비율은 2022학년도 56.2%, 2023학년도 54.7%, 2024학년도 52.8%, 2025학년도 55.1%, 2026학년도 64.6%를 기록했다.
과학탐구 응시비율은 지난해 44.9%에서 올해 35.4%로 큰 폭 하락했다. 과탐 응시비율은 2022학년도 43.8%, 2023학년도 45.3%, 2024학년도 47.2%로 오르다 2025학년도 44.9%, 2026학년도 35.4%로 낮아졌다.
종로학원은 "사탐 응시비율이 늘어난 것은 문과 학생 증가와 '이과 학생 중 사탐과목을 응시'하는 사탐런(run) 현상이 동시에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밝혔다.
사탐 과목 중 사회문화 응시자는 지난해보다 4만6083명 늘었고, 생활과 윤리 2만3616명, 세계지리 7743명 등 9개 과목 모두가 지난해보다 응시생이 늘었고, 9개 과목 전체에서 9만8976명 증가했다.
반면, 과탐 과목은 지구과학I에서 1만2146명, 화학I 1만1870명, 생명과학I 9786명, 물리I 5177명으로 4개 과목에서 3만8979명이 감소했다.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에서는 과탐II 과목은 시험과목에서 제외됐다.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올해 고3 수험생은 문과생들이 이례적으로 늘고, 이과생들이 사탐과목에 응시하는 사탐런 현상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는 구도"라며 "수능에서 문과생들이 다소 유리하고, 이과생들이 응시생수 감소로 불리한 구도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과는 응시생수 감소 등으로 상위권 수능 점수 확보가 지난해보다 더 어려운 구도이고, 특히 최상위권 의대를 목표로 한 학생들은 과탐과목이 중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