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부터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보유한 전국 1200여 개의 공공 체육시설과 회의실을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톡 등 민간 플랫폼으로 직접 예약해 사용할 수 있다고 행정안전부가 20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공유누리' 누리집(www.eshare.go.kr)에서만 공공자원 예약이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국민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네이버 지도앱·웹 또는 카카오톡 앱에서도 편리하게 예약해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공유누리와 민간플랫폼을 연계한 첫 사례로 국민 수요가 많은 체육시설(축구장, 족구장, 테니스장 등), 회의실, 강당·강의실 등 공공자원 시설을 민간 플랫폼에서 직접 검색·예약할 수 있게 돼 공공자원 활용과 접근이 보다 쉬워질 것으로 기대된다.
네이버 지도에서는 '풋살장', '회의실' 등 시설명을 검색하면 예약 가능한 자원이 지도에 표시돼 원하는 날짜와 시간대를 선택해 예약할 수 있다.
카카오톡에서는 하단의 '더보기' → '예약하기' 메뉴를 통해 자원을 검색하고 마찬가지로 날짜 등을 선택해 신청하면 된다. 일부 유료 자원은 현장 결제 또는 계좌이체를 통해 비용 지불 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행안부는 '공유누리' 서비스 자체도 고도화할 계획으로 올해 말까지 상황별 맞춤형 검색 기능을 도입해 이용 편의성과 체감도를 더욱 높일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앞으로 공공자원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국민이 일상에서 공공자원을 더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누리 서비스를 개선하며, 민간 플랫폼과 연계도 계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