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잇따른 지반침하(땅꺼짐) 사고에 대응해 지하공간 안전망 구축에 대대적인 투자를 단행한다.
오세훈 시장은 "시민이 땅 꺼짐으로 불안을 느끼지 않도록 예산·기술·조직을 총동원하겠다"고 23일 밝혔다.
노후 하수도 정비를 확대하고, 실시간 계측기술 도입하는 등 전방위 대응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우선 지하 20m까지 지층 변화를 계측할 수 있는 신기술을 도입해 지반침하를 조기 감지할 방침이다.
최근 땅거짐 사고가 난 강동구 명일동 인근 지하철 9호선 공구에 다음달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지하 2m까지 탐지할 수 있는 기존 차량형 GPR(지표투과레이더) 장비도 4대에서 7대로 늘리고, 조사범위도 60%까지 확대한다.
서울시는 철도공사장 5곳과 자치구 지정 50곳에 대해 GPR 탐사 결과를 우선 공개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지반 특성 반영 지도'를 제작해 시민 누구나 위험지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노후 하수관 정비는 연 100km에서 200km로 늘리고, 예산도 2천억 원에서 4천억 원으로 두 배 확대하기로 했다.
상수도관 3,074km는 2040년까지 단계적으로 교체되며, 국비 지원도 정부에 요청 중이다.
지하안전 강화를 위해 기존 9명 조직을 30명 규모의 '지하안전과'로 확대 개편하고, 민간 전문가도 영입한다.
공동탐사 주기는 5년에서 1년으로 단축되고, 터널 굴착공사 특별점검은 월 1회로 강화된다.
서울시는 지하공사 안전계측장비를 1,424개 운영 중이며, 현재까지 모든 수치는 안정권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GPR, CCTV, 바디캠 등 220대의 장비로 공사현장을 실시간 감시하며 사고 예방에도 집중하고 있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지하공간 관리체계를 지속 고도화해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책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