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미 지난해 말 기업 회생 절차를 논의한 핵심 정황 증거이 담긴 내부 이메일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향후 검찰 수사 과정에서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를 입증할 스모킹 건(결정적 증거)가 될 전망이다.
24일 금융당국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실 등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최근 검찰에 긴급조치(패스트트랙)로 이첩한 MBK와 홈플러스 경영진은 김병주 MBK 회장과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 등 8명이다.
금융당국은 이들에게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하고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하면서도 이를 숨기고 단기체권(ABSTB 등)을 발행한 부정거래 혐의를 적용했다.
금감원은 조사 과정에서 이들이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사전에 인지하고 회생절차 신청을 계획한 정황이 담긴 내부 자료도 입수했다.
이미 2023년 말 홈플러스의 자금 사정 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됐고, 지난해 말에는 한계에 도달했다는 내부 분석이 포함된 내용이다.
금감원은 이 시점을 전후로 "버티기 힘들면 회생(신청)으로 가자"는 취지로 논의한 임직원 이메일 등 내부 논의 자료를 확보했다.
앞서 금감원은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단기신용등급 강등('A3'→'A3-')이 확정 공시된 지난 2월 28일부터 회생 절차 신청 준비를 시작했다고 밝혀왔는데, 이보다 더 이른 시점에 MBK파트너스가 강등 가능성을 인지한 정황을 포착했다.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회계 담당 부원장은 지난 1일 브리핑에서 "적어도 MBK가 말해온 날짜 이전에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을 인지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인지하고도 전단채 등을 발행했는지 등을 확정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검찰은 금융당국으로부터 받은 사건을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이승학 부장검사)에 배당하고 본격적인 기록 검토에 돌입했다.
검찰은 이미 신영증권 등 4개 증권사가 홈플러스 경영진 등을 고발한 사건을 살펴보고 있어, 수사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