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에 출석한 박선영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 위원장이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북한군이 개입했다는 음모론에 대해 "논란이 있는 건 알지만, 진실 여부는 잘 모른다"고 말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그는 회의장에서 퇴장하라는 상임위원장의 지시도 거부하고 자리에서 버티다가 회의가 파행되기도 했다.
박선영 진화위원장은 2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5·18 발생과정에서 북한군의 개입설에 대한 진화위원장의 인식을 묻겠다'는 질문에 "논란이 있는 건 알지만, 진실 여부는 잘 모른다"고 답했다.
학계 등에서 사실이 아닌 음모론으로 통하는 5·18 북한군 개입설에 대해 진화위원장이 진실 여부를 모르겠다고 답한 것이다.
박 위원장은 재차 이어진 질문에서도 "그런 논란이 있다는 사실은 알지만, 그 사실은 모른다고요. 제가"라고 답했다.
박 위원장의 답변에 회의장에선 "저런 사람을 앉혀놓다니" 등 의원들의 항의가 쏟아졌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신정훈 행정안전위원장이 "5.18에 대한 역사적 발생 배경이 명백하게 북한군 외부소행이 아니라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불행한 역사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가"라고 다시 묻자 박 위원장은 "그런 논란이 있는 것은 알지만, 제가 북한군이 개입을 했는지 안 했는지는 모른다"고 답했다.
신 위원장이 다시 한번 답변할 기회를 주겠다고 질문했지만 박 위원장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그 부분에 대해선 진실 여부를 제가 모른다"며 같은 답변으로 일관했다. 같은 내용의 질의는 10분이 넘게 반복됐다.
결국 신 위원장은 "그 자리에 앉아 있을 자격이 없다"며 박 위원장에게 퇴장을 명령했지만, 그는 이마저도 거부하고 자리에서 버텼다.
박 위원장은 "국회법상 퇴장 명령할 수 없다"며 "모르는 걸 모른다고 답하는 것이 뭐가 죄가 되느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박 위원장이 퇴장 조치를 거부하고 버티자 국회는 직원들을 동원해 그를 연행하려 했지만, 이번엔 국민의힘 의원들이 반발하면서 회의는 정회됐다. 퇴장 조치를 거부하고 버티던 박 위원장은 이석 명령에는 응했고 결국 회의장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