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한국은 수출 위주의 경제인만큼, (최근의) 통상 갈등이 큰 역풍"이라고 밝혔다.
이창용 총재는 24일 CNBC와의 미국 현지 인터뷰에서 미국발 관세 전쟁의 한국 영향과 관련해 문제를 해결할 힘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관세정책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과 관련해 "미국 관세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 대한 미국 관세로부터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그 예로 베트남 내 반도체 생산, 멕시코 내 자동차·전자제품 생산, 캐나다 내 한국 배터리 생산 등을 꼽았다.
그러나 이 총재는 우리 기업들이 그동안 공급망 다변화에 힘써왔기 때문에 통상 갈등과 관세 문제를 해결할 힘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5년 동안 공급망을 다변화했고, 특히 중국의 경쟁력 강화와 정치적 이슈에 따라 중국 의존도를 줄여왔다"며 "경쟁국들과 비교해 우리 기업들이 통상갈등 이전부터 준비해온 만큼,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폭과 관련한 질문에는 "통상 갈등이 심해질지 약해질지와 재정정책을 통한 대응 등을 봐야하기 때문에 지금 한은 전망을 미리 짐작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