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사건과 관련해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의 수상한 거래내역을 포착하고 관련 내용을 검찰에 넘겼다. 이 전 대표는 도이치주가조작 사건으로 집행유예를 선고받았으며, 과거 김건희 여사의 계좌관리인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25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금감원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의 실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이 전 대표의 수상한 거래내역을 포착했다. 삼부토건 실소유주 이일준 회장과 조성옥 전 회장 측을 포함해 계좌 수백 개의 이상거래를 추척하는 과정에서 이 전 대표의 거래내역을 찾은 것이다.
다만, 금감원은 이 전 대표의 거래내역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등 범죄 혐의와 연루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판단을 유보했다.
통상적으로 금융당국의 조사 단계에서 시세조종 혐의 등이 짙은 것으로 인정되려면 특정 계좌와 비정상적으로 자주 거래되는 등 분명한 이상거래 내역이 다수 발견돼야 하는데, 이 전 대표의 거래내역은 다른 주요 혐의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혐의와 연관된 흔적이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이 전 대표를 고발대상에서는 제외하는 대신 고발 취지에 이 전 대표의 '삼부 체크' 메시지를 포함시켰다. 이 전 대표의 혐의 유무는 압수수색과 인신구속 등 강제수사가 가능한 검찰 수사에서 풀어야 한다는 점을 암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전 대표는 2023년 5월 이른바 '멋쟁 해병 대화방'(해병대 예비역 단체 대화방)에서 "삼부 내일 체크하고"라는 메시지를 남긴 사실이 알려지면서 주가조작 의혹에 불을 지폈다.
이 전 대표가 메시지를 남긴 직후 삼부토건 주가는 급등했다. 2023년 5월 1천원 대였던 주가는 당시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우크라이나 방문과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관련 행사 참여 소식 등에 힘입어 두 달 만에 5500원까지 뛰었다.
한편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는 지난 23일 삼부토건 주가를 띄우고 주식을 팔아 660억원대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로 삼부토건 전·현직 회장 등을 검찰에 고발했다. 이 전 대표와 김 여사는 고발 대상엔 빠졌지만 강제수사 필요성을 적시해 검찰에 넘긴 것으로 CBS 취재 결과 확인되기도 했다.(관련기사: [단독]금융당국, 김건희·이종호 '삼부체크' 의혹에 '강제수사 필요' 적시)
이복현 금감원장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관련 자료 일체를 검찰로 인계해 금융감독 판단의 적정성에 대해 고도의 수사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검찰에서 제3자적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이제 검찰의 시간"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