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조기대선에 출마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더불어민주당의 대선 경선 방식에 대해 강하게 불만을 나타냈다.
김 지사는 13일 여의도 소재 자신의 대선 캠프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 '유쾌한 캠프의 더 유쾌한 다방' 행사에서 "경선 룰에 대해서는 정말 아름다운 경선을 저희는 바라고 또 희망했지만, 지금 별 의미 없는 경선으로 가는 것 같아서 유감"이라며 "정말 많은 언론이 얘기한 것처럼 들러리 경선, 의미 없는 경선으로 가는 것 같아서 대단히 유감"이라고 거듭 유감을 표했다.
앞서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당규위) 이춘석 위원장은 전날인 12일 "당규위는 치열한 논의 끝에 기존 국민경선에서 국민참여경선으로 바꾸는 것을 결정했다"며 "'대통령은 시민들이 선출하고 정당의 공직 후보는 당원들의 의사를 반영한다'는 민주주의와 정당 정치의 기본 전제를 바탕으로, 시대적 상황과 요구에 따라 민주당 공직 후보 선출 방식은 변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그간 대선 경선을 권리당원, 대의원, 참여 의사를 밝힌 일반 국민으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1인 1표'를 부여하는 '국민경선'으로 치러왔다. 이번에는 당원 주권 강화와 역선택 방지를 위해 권리당원 50%, 국민 여론조사 50%로 치러지는 '국민참여경선'으로 방식을 바꿨다.
김 지사는 "국민경선은 그동안 민주당이 오랫동안 유지해왔던 아름다운 전통이자 자부심이었고, 더 나아가서는 국민의 자부심이었다"며 "이런저런 이유로 역선택이나 역작용 등을 우려하는 것은, 불법 계엄과 내란 종식까지 이끌어낸, 불법 동원된 탱크나 군을 막아섰던 시민들, 국민의 역량을 봤을 적에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유불리 따지지 말고 압도적인 정권교체 위해서는 확실한 길로 가야 하는데 그것은 바로 국민경선"이라며 "이 자리를 빌어 당원 여러분께도 호소드린다. 민주당이 지켜온 원칙과 상식의 토대 위에서 그동안의 전통이 지켜지고 정권교체를 위해서 국민들이 압도적인 정권교체를 이룰 수 있도록 올바로 바로 잡아주시라"고 당부했다.
김 지사는 대선에 출마한 김두관 전 의원과 관련한 질문에 대해서도 "적어도 지금 진행되고 있는 경선룰에 대해서는 '너무나 기울어진 운동장'이고, 이것이 압도적인 정권교체를 하는데 있어서 별로 좋게 작용하지 않을 거라는 데에서는 같은 뜻 이라고 알고 있다"며 당원들이 "압도적인 정권교체를 위해서 당 지도부가 정한 룰을 바로잡아 주십사 하고 다시 한 번 간곡히 당부드린다"고 거듭 호소했다.
조국혁신당이 제안했던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에 대해서는 "당시 김부겸 전 국무총리나 김경수 전 경남지사나 모두가 오픈프라이머리에 찬성한 것으로 안다"며 "빛의 연대세력은 개헌에 까지도 함께 뜻을 모을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했다. 그렇기에 혁신당이 주장한 오픈프라이머리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채 혁신당에서 후보를 내지 못하는 것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경선 룰에 대해서 강한 비판의 목소리를 냈지만 원하지 않는 당원 투표 결과가 나오더라도 수용하겠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당원투표가 진행 중이라 어떻게 하겠다는 얘기를 오늘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조금 상황을 보겠다"고 말을 아꼈다.
이어 "경선 룰에 대한 저희 대처는 오늘은 대답을 유보하겠다"며 "오늘은 당원동지 여러분께 노무현 대통령 이래 쭉 만들어져왔던 과정 자체를 부인하고 여론조사를 하는 것에 대한 부당함을 말씀드리고, 올바로 잡아 주십사 하는 것을 간곡히 드리는 것으로 갈음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지사는 선거운동의 기조에 대해서는 '3무(無) 3유(有)'를 내세웠다. 없는 3가지를 의미하는 3무는 네거티브, 매머드 선거대책위원회, 조직이 없는 선거를, 3유는 비전, 정책, 후보 중심의 젊은 선거를 가리킨다.
그는 "새 정부는 특정한 대통령의 정부, 특정 정당의 정부가 아니라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가는 폭넓고 정권 교체 이상의 교체를 하는 연대가 함께 작용해야 한다"며 연대론도 언급했다. 이번 선거의 의미에 대해서는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가느냐 못하느냐, 과거로 돌아가느냐 미래로 뛰느냐, 제7공화국의 문을 활짝 여느냐의 기로"라며 '국제 정치외교'와 '경제대연정'을 투트랙으로 제시했다.
지난 9일 출장길에 올랐던 방미에 대해서는 "미시간 주와 경기도 간의 정부차원에서의 협력 구축 채널을 만들어서 관세 문제를 공동대처하는 데 합의했다"며 "트럼프 관세 폭탄으로 인해 우리 정부가 미온적이거나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더라도, (경기도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하기로 했다는 것에 대해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