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조기대선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예비후보는 16일 AI(인공지능) 주권 확보와 산업 전환을 위해 향후 5년 동안 민관 공동으로 10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해서 증세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 후보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경제 분야 공약을 발표 기자회견에서 "신산업과 국민 개개인에 과감하게 투자해야 한다"며 "AI 전환과 기후경제 전환은 세계의 각축이 벌어지는 주요 무대"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만이 내세울 수 있는 '한국형 전환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며 △벤처와 스타트업 혁신 생태계 조성 △전국 5대 권역 메가시티를 중심으로 한 균형발전 △지역 '국가 특성화 연구중심대학' 등을 통한 인재 양성을 3대 전략으로 제시했다.
특히 김 후보는 "전략적 국가 투자로 정부가 혁신의 위험을 앞장서 부담하겠다"고 공약했다. 그는 "향후 5년간 총 100조원 규모 민관 공동투자로 '한국형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겠다"며 "산업별로 특화된 AI 혁신 프로젝트 지원"도 강조했다.
산업 전환 측면에서는 △AI △차세대반도체 △바이오헬스 △모빌리티 △탈탄소 에너지전환 등 5대 첨단기술 분야의 연구혁신을 위해 "국가전략기술기금 50조원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현실성 있는 재정 전략으로 정부 투자를 뒷받침하겠다"며 "정치권이 감세 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다. 17%로 떨어진 조세부담률을 22% 이상으로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증세에 대한 반감을 고려해 "세금이 정부에서 허투루 쓰이지 않는다는 신뢰가 먼저 확보돼야 한다"며 "다음 정부에서는 증세를 국민들과 논의할 수 있도록 정부의 자기 혁신을 먼저 할 것"이라고 조건을 달았다.
김 후보는 이날 공약 발표와 함께 경선 캠프 구성도 소개했다. 캠프 이름은 연대와 연합의 덧셈 정치를 실현한다는 뜻으로 '더하기 캠프'라고 명명됐다.
캠프 좌장은 최재성 전 문재인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이 맡았다.
김 후보는 "캠프는 30·40대 실무자와 청년들 중심으로 꾸려졌다"며 "캠프 슬로건은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의 민주주의 정신을 회복하고 빛의 연대·연정으로 국민의 마음을 함께 모은다는 의미로 '다시 함께'라고 정했다"고 설명했다.